본문 바로가기
씸플 분석

국민연금 2분기 수익률 보고서 분석

by 욱이. 2022. 8. 30.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Stock Simple, 씸플입니다.

국민연금 2분기 수익률 보고서 분석, 씸플분석입니다.


✅국민연금공단(이사장 직무대행 박정배) 기금운용본부는 2022년 상반기 기준 국민연금기금 적립금이 882조 7천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으며, 이 기간 -8.00%의 수익률을 보였다고 29일 밝혔다.

 

📌자산별 수익률(금액가중수익률 기준)국내주식 -19.58%, 해외주식 -12.59%, 국내채권 -5.80%, 해외채권 -1.55%, 대체투자 7.25%로 나타났다.

 

 

✅올해 2분기까지 기금운용 수익률이 음(-)의 성과를 나타낸 것은 글로벌 주식·채권의 동반 약세로 손실 폭이 확대된 데 따른 것이다.

 

📌1970년대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이후 주식과 채권 모두 큰 폭의 손실을 기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처럼 경기가 악화한 것은 광범위한 물가 상승에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공격적으로 통화 긴축에 나섰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공급망 문제가 심화하며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져서다.

 

📌통화정책 경계감에 따른 금리 상승과 인플레이션 우려는 전 세계 융시장 참가자들의 투자심리를 악화시키며, 금이 보유한 주식·채권 수익률에도 영향을 미쳤다.

 

📌달러 강세로 인한 환차익은 국민연금기금이 보유한 해외자산의 수익률 하락을 일부 만회하는 데 기여했다.

 

 

글로벌 증시 급락 등은 주요 해외 연기금의 운용수익률 하락 원인으로 작용한 가운데 올해 2분기 실적을 공시한 주요 연기금 중 국민연금의 성과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1) 해외 각 연기금 홈페이지에 공개된 수익률 관련 자료를 인용해 추산한 수치

2) GPIF는 글로벌 시장 대비 일본 금융시장이 상대적으로 낙폭이 작고, 엔화 약세에 따른 엔화 환산 평가 수익이 전체 수익률의 하락 폭을 제한하는 데 크게 기여

 

*2022년 상반기 일본 주식(TOPIX) 7.85%, 일본 국채 10년물 금리 +14.2bp, ·달러 환율 17.94% 상승

 

 

✅한편, 825 현재 주식시장은 변동 폭이 축소되고, 채권시장은 금리 상승이 둔화되며 2분기 대비 안정화 되어가는 모습이며,

 

📌국민연금 수익률도 약 -4%(잠정)로 회복한 상태이다.

 

 

✅국민연금공단 관계자는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진 상황에서 위험관리에 힘쓰겠다”“경기 회복기 성과 제고를 위한 투자 기회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말했다.

 

 

728x90
반응형

댓글